요즘처럼 금리가 높은 시기에 안정적인 수익을 찾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ETF가 있습니다. 바로 HYG, 공식 명칭은 iShares iBoxx USD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입니다.
이 ETF는 **블랙록(BlackRock)**이 운용하는 대표적인 고수익(하이일드) 회사채 ETF로, 매월 배당을 제공하면서도 기업의 신용위험을 담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HYG의 구조, 보유 종목 구성, 기준금리와의 관계, 그리고 향후 투자 전망까지 전문가처럼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봤어요.
HYG ETF란?
HYG는 미국 기업들이 발행한 투기등급(하이일드) 회사채에 광범위하게 투자하는 ETF입니다.
안정성은 국채보다 낮지만, 그만큼 높은 이자 수익을 제공하며, 분산 투자로 리스크를 어느 정도 관리하는 상품이에요.
주요 정보 요약:
-
운용사: BlackRock (iShares 시리즈)
-
상장일: 2007년 4월
-
운용 자산: 약 171억 달러
-
총보수(Expense Ratio): 0.48%
-
배당 주기: 매월
-
최근 배당 수익률: 약 4.92%
-
평균 듀레이션: 약 3.9년
HYG 포트폴리오: B등급 이하 채권이 49%?
하이일드 ETF답게 HYG는 대부분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구성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BB 등급: 약 53%
-
B 등급: 약 38%
-
CCC 등급 이하: 약 11%
즉, B등급 이하 채권이 **전체의 약 49%**를 차지하고 있어, 신용 위험에 상당히 노출된 구조입니다.
하지만 수백 개 기업에 분산 투자되어 있어 개별 디폴트 리스크는 일정 부분 완화됩니다.
HYG 상위 보유 종목 TOP 10
가장 비중이 높은 주요 회사채 발행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Occidental Petroleum Corp.
-
Charter Communications Inc.
-
T-Mobile USA Inc.
-
Sprint Communications Inc.
-
Tenet Healthcare Corp.
-
Dish DBS Corp.
-
TransDigm Inc.
-
Bausch Health Companies Inc.
-
American Airlines Inc.
-
Caesars Entertainment Inc.
에너지, 통신, 헬스케어, 항공, 레저 등 소비·경기 민감 업종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금리 인상과 HYG 가격의 관계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죠.
기준금리가 오르면 HYG ETF는 떨어질까요? 정답은 대체로 그렇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합니다.
새로 발행되는 고금리 채권에 비해, 기존 저금리 채권의 매력도가 낮아지기 때문이에요. -
HYG는 기존 회사채를 포함한 ETF이므로, 기준금리 상승 시 ETF 가격도 하락합니다.
-
또한 하이일드 채권은 기업 신용위험에도 민감해서, 금리 상승으로 자금 조달 비용이 올라가면 신용 스프레드가 확대될 수 있고, 이는 추가 하락 요인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YG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그렇다면 왜 많은 투자자들이 여전히 HYG에 투자할까요?
1. 매월 배당 수익
현금 흐름을 선호하는 투자자에게는 아주 큰 장점입니다. 매달 들어오는 배당금은 꾸준한 수익원이 될 수 있죠.
2. 금리 고점 이후 반등 가능성
금리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동결 또는 인하로 전환된다면, 기존 채권의 가격은 반등할 수 있습니다.
HYG는 이런 환경에서 캐피탈게인 + 배당수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3. 분산 효과로 리스크 완화
1,000개 이상 채권에 분산되어 있어, 특정 기업의 부도나 이슈로 인한 타격이 크지 않습니다.
결론: HYG 투자, 누구에게 적합할까?
HYG는 다음과 같은 분들께 추천할 수 있어요:
-
채권 투자에 관심은 있지만 개별 채권은 어렵다고 느끼는 분
-
매달 배당을 받으며 현금 흐름을 관리하고 싶은 분
-
중위험·중수익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은 분
-
금리 인하 사이클을 선제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분
다만, 신용위험과 금리 민감도가 있다는 점은 꼭 고려하시고, 포트폴리오 내 일정 비율로만 편입하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ETF를 소개하는 글일뿐 매수추천은 아니라는 점 알아주세요"